GPT의 놀라운 통찰력: GPT가 제안한 중국 관광객 마케팅 전략
GPT와 대화를 통해 마케팅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어봤습니다.
실제 마케팅 업무를 하시는 분들께는 전혀 놀랍지 않은 사소한 아이디어일 수 있지만, 마케팅을 잘 모르는 사람들에게는 매우 놀라운 아이디어라 생각합니다. 무엇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GPT가 실시간 뉴스 검색을 통해 정보를 얻고, 얻은 정보를 GPT가 활용해 마케팅 전략을 제안했다는 점입니다. GPT-4는 중국 관광객을 대상으로 아래와 같은 마케팅 전략을 제안해줬습니다.
- 개별 여행객 중심의 상품 구성: 중국 MZ세대가 선호하는 개별적인 여행 경험을 반영하여, 다양한 문화적 체험과 연계된 상품을 제공합니다.
- SNS 마케팅 강화: 중국인 관광객이 많이 사용하는 SNS 플랫폼을 활용하여, 면세점의 상품과 프로모션을 홍보합니다.
- 모바일 결제 옵션 확대: 중국 관광객의 모바일 결제 선호도를 고려하여, 다양한 결제 옵션을 제공합니다.
- 문화 체험 연계 프로모션: 한복 대여, 맛집 투어 등의 체험과 연계된 프로모션을 진행하여, 면세점 방문을 유도합니다.
아래는 GPT와의 대화 내용입니다. 이러한 대화 흐름을 이용해, 자신이 필요한 업무에 인간이 놓칠 수 있는 통찰력을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가장 먼저, 아래의 첨부 데이터를 GPT에 올렸습니다.
GPT에게 첨부 데이터는 2015년부터 2023년까지의 우리나라에 입국한 국가별 월별 통계 자료라고 알려주었습니다.
그랬더니, 갑자기 영어로.. 어쩌고 합니다. 한글로 설명을 부탁하니, 아래와 같이 설명해줍니다.
제공하신 엑셀 파일에는 2015년부터 2023년까지 각 월별로 한국을 방문한 각국 국민들의 통계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각 행은 한 달을 나타내며, 열에는 'TOTAL'이라는 총 방문자 수를 비롯하여 중국, 일본, 미국, 대만, 홍콩, 필리핀, 태국 등 다양한 국가별 방문자 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자이르, 케이맨제도, 미국인근섬과 같이 덜 일반적인 출신지에 대한 기록도 250개의 열에 걸쳐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데이터를 통해 원하시는 특정 분석이나 요약을 진행해 드릴까요? 예를 들어, 시간에 따른 추세, 국가별 비교, 연간 요약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제, 저는 면세점 직원인데 이 데이터를 이용해 마케팅 분석 보고서를 만들어야 한다고 GPT에게 말했습니다.
아래와 같이 제법 유용한 말들을 해줍니다.
- 월별 방문자 패턴 분석: 각 월별로 평균 방문자 수를 분석하여 특정 시즌에 방문자 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파악합니다. 예를 들어, 여름 휴가철이나 명절 시즌에 방문자 수가 증가하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 주요 국가별 방문자 비율 분석: 중국, 일본, 미국 등 주요 국가의 방문자 수를 전체 방문자 수와 비교하여 그 비율을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주요 고객층이 어느 국가에 집중되어 있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 국가별 월별 방문자 비교: 주요 국가들을 대상으로 각 월별 방문자 수를 비교합니다. 이를 통해 어떤 국가의 방문자들이 특정 시즌에 많이 방문하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분석은 면세점의 재고 관리 및 마케팅 전략 수립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뭔가 가능한 이야기들인거 같습니다. 그래서 당장 12월 연말에 마케팅을 해야하는 관점으로 분석을 요청했습니다. 아래와 같이 답을 줍니다.
12월 연말 시즌에 대한 분석을 진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정보를 얻었습니다:
- 중국: 12월 평균 방문자 수가 가장 많은 국가로, 약 215,139명입니다.
- 일본: 두 번째로 많은 방문자를 보내는 국가로, 평균 약 185,687명입니다.
- 미국: 세 번째로 방문자 수가 많으며, 평균 약 50,007명입니다.
- 대만, 홍콩, 태국: 이 국가들도 각각 평균 40,589명, 33,565명, 32,521명으로 상당한 방문자 수를 기록했습니다.
- 필리핀,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각각 평균 26,942명, 26,936명, 25,960명의 방문자 수를 보입니다.
- 교포: 평균 19,103명이 방문합니다.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연말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때 중국, 일본, 미국 방문객을 주요 타겟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대만, 홍콩, 태국 등의 국가들에 대해서도 특별한 마케팅 활동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국가의 방문객들을 위한 맞춤형 프로모션, 특별 할인, 문화적 행사 등을 기획하여 방문객들의 관심을 끌고 매출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관련 내용을 시각화를 부탁하니 알아서 시각화도 잘 해줍니다. 그런데, GPT-4에서 데이터 분석을 통한 시각화에서는 한글이 깨지는 문제가 있습니다. 그래서 한글 부분은 영어로 번역해서 표현하도록 처리했습니다. (시각화 했던 내용은 저장되어 있지 않아 보여드릴 수가 없네요.)
계속해서 분석을 하다가, 중국 관광객이 많으니 중국인들 대상으로 마케팅을 해야 할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중국 관광객에 대한 최신 인터넷 기사들을 검색해서, 중국 관광객과 관련 높은 키워드를 뽑아달라고 부탁했습니다.
GPT-4에는 현재 빙을 사용한 인터넷 검색 기능이 있어, 이와 같은 검색이 가능합니다.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습니다.
최신 중국 관광객에 대한 인터넷 기사를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주요 키워드가 도출되었습니다:
- MZ세대 중심의 개별 여행 선호: 중국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는 단체 여행보다 개별 여행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제주도 방문 증가: 제주도는 중국인 관광객들에게 인기 있는 목적지로, 특히 MZ세대 관광객이 많이 찾고 있습니다. 제주목 관아 등의 문화 명소가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 SNS 영향력: 중국 관광객들은 여행지를 선택할 때 SNS의 영향을 크게 받습니다. 특히 샤오홍슈(小红书)와 같은 중국 SNS 플랫폼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체험 중심 여행 선호: 중국 관광객들은 쇼핑 위주의 단체 관광보다 로컬 체험, 카페투어, 맛집투어 등 체험 중심의 자유 관광을 선호합니다.
- 모바일 결제 증가: 중국 관광객들 사이에서 모바일 페이를 통한 간편 결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소비 패턴의 변화를 반영합니다.
- 한복 대여 및 문화체험 인기: 중국 관광객들은 한국 전통 문화를 체험하고자 한복 대여 및 문화체험에 관심이 많습니다.
- 개별 여행지 및 맛집 탐방: 중국 젊은 층은 일정이 짜여진 단체관광보다 개별적으로 특정 여행지나 맛집을 집중적으로 찾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키워드들은 중국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거나 워드클라우드를 만드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만든 차트와 검색 결과를 통해 스토리 있게 발표문을 만들어 달라고 부탁했습니다. 아래와 같이 잘 만들어 주네요.
슬라이드 1: 인사 및 주제 소개
- "안녕하세요, 오늘 저는 최근 중국 관광객의 트렌드 변화와 이에 따른 우리의 마케팅 전략에 대해 발표하겠습니다."
슬라이드 2: 현재 중국 관광객의 통계 및 변화
- "먼저, 최근의 통계에 따르면, 중국인 관광객의 수는 올해 약 20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큰 취업 유발 효과를 가져올 것입니다. 하지만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하면, 여전히 회복이 더디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슬라이드 3: 중국 MZ세대의 여행 선호도 변화
- "중요한 변화 중 하나는, 중국 MZ세대가 단체 여행보다 개별 여행을 선호한다는 점입니다. 이들은 제주도 같은 특정 목적지를 찾으며, 샤오홍슈와 같은 SNS를 통해 여행지를 결정합니다."
슬라이드 4: 중국인 관광객의 소비 특성
- "중국인 관광객은 체험 중심의 여행을 선호하며, 모바일 결제를 증가시키고 있습니다. 이들은 쇼핑보다는 로컬 체험, 카페투어, 맛집투어 등을 선호합니다."
슬라이드 5: 마케팅 전략 제안
- "이러한 트렌드를 바탕으로, 우리는 중국 MZ세대의 개별적인 여행 스타일과 문화 체험에 초점을 맞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한복 대여 및 문화 체험 서비스를 강화하고, 개별적인 맛집이나 특별한 여행지를 홍보하는 것이 좋습니다."
슬라이드 6: 결론 및 감사 인사
- "오늘 제시한 마케팅 전략이 중국 관광객 유치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그런데 보고서 내용이, 현재 조사한 내용만 정리되어 있는 느낌입니다.
그래서, 면세점에서 중국 관광객 대상으로 12월 마케팅을 어떻게 해야 할지 전략도 보고서에 추가해달라고 했습니다.
그랬더니, 아래와 같이 마케팅 전략 제안을 해줍니다.
- 개별 여행객 중심의 상품 구성: 중국 MZ세대가 선호하는 개별적인 여행 경험을 반영하여, 다양한 문화적 체험과 연계된 상품을 제공합니다.
- SNS 마케팅 강화: 중국인 관광객이 많이 사용하는 SNS 플랫폼을 활용하여, 면세점의 상품과 프로모션을 홍보합니다.
- 모바일 결제 옵션 확대: 중국 관광객의 모바일 결제 선호도를 고려하여, 다양한 결제 옵션을 제공합니다.
- 문화 체험 연계 프로모션: 한복 대여, 맛집 투어 등의 체험과 연계된 프로모션을 진행하여, 면세점 방문을 유도합니다.
- 현지화된 고객 서비스 제공: 중국어 서비스, 문화적으로 맞춤형 상담 및 안내를 통해 고객 만족도를 높입니다.
이러한 전략들은 면세점의 매출 증대 및 중국 관광객 유치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전체 대화 내용은 다음 URL에 있습니다. 이상입니다.
https://chat.openai.com/share/12eaf228-9ced-4d78-9245-ce5f0e24f9fb
P.S. 아래 강의들을 진행하고 있으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StartUP Tuning For PostgreSQL: PostgreSQL을 활용한 SQL 튜닝 입문 교육
https://cafe.naver.com/dbian/7181
- StartUP Tuning For MySQL: MySQL을 활용한 SQL 튜닝 입문 교육
https://cafe.naver.com/dbian/6958
- 평생필요한 데이터 분석: 저자 직강!, 주식 데이터를 활용한 SQL 입문자 교육
https://cafe.naver.com/dbian/7131
'데이터분석 > Data Analysis With G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짝 긴장해라! H.U.M.A.N. GPT가 곧 SQL을 정복할 것이다. (0) | 2024.05.02 |
---|---|
DBeaver에 GPT 연동하기 (1) | 2024.05.01 |
GPT를 활용한 용어 결정: StockCode?Ticker?Symbol? (1) | 2023.12.27 |
GPT로 댓글봇 만들기 (0) | 2023.12.27 |
AI 시대에 가져야 할 우리의 자세 (1) | 2023.12.24 |
GPT랑 쿵짝해서 주요 ETF 들을 한눈에 볼 수 있게 만들어봤습니다. (0) | 2023.11.03 |
GPT 시대, 관계형 데이터의 재조명 (0) | 2023.10.10 |
KODEX 200 언제 다시 오를까? GPT에 물어봐~ (0) | 2023.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