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LG생활건강을 6개월 보유할때의 수익률을 분석해보려고 합니다.

설명에 앞서, 절대 어떤 종목을 추천하기 위한 글이 아니며, 본 글로 인해 투자한 종목의 손실에 대해서는 절대 누구도 책임지지 않는다는 것을 기억해주시기 바랍니다.

데이터의 정확성 역시 일차적으로는 검토했지만, 데이터 수집 시점이나 과정에서 발생한 실수로 부정확할수도 있으니 양해바랍니다.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2010년1월의 시가(시작가격)로 매수, 6개월 보유 후, 2010년 7월의 시가로 매도

 2. 2010년 2월의 시가로 매수, 6개월 보유, 2010년 8월 시가로 매도

 3. LG생활건강의 모든 월별 주가에 대해 위와 같이 처리

위와 같은 로직으로 각 월별로 6개월 보유후 매도했을 때의 등락률(수익률)을 구해서 차트를 그려봅니다. 위에서 설명한 결과를 만다는 SQL은 아래와 같습니다.(아래는 오라클 기준의 SQL입니다. MySQL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SELECT  T1.STK_CD ,T1.STK_NM
        ,REGEXP_REPLACE(T_SELL.YM,'(.{4})(.{2})','\1-\2') 매도월 
        ,T_SELL.O_PRC 매도가격
        ,ROUND((T_SELL.O_PRC - T_BUY.O_PRC) / T_BUY.O_PRC * 100,2) 등락률
        ,REGEXP_REPLACE(T_BUY.YM,'(.{4})(.{2})','\1-\2') 매수월
        ,T_BUY.O_PRC BUY_PRC -- 시가 사용
FROM    ORA_STK_USER.M_STK T1
        ,ORA_STK_USER.FT_STK_YM T_SELL
        ,ORA_STK_USER.FT_STK_YM T_BUY
WHERE   T1.STK_CD = T_SELL.STK_CD
AND     T1.STK_NM = 'LG생활건강'
AND     T_BUY.STK_CD = T1.STK_CD
AND     T_BUY.YM = TO_CHAR(ADD_MONTHS(TO_DATE(T_SELL.YM||'01','YYYYMMDD'),-6),'YYYYMM')
ORDER BY T_SELL.YM ASC
 

위 SQL을 통해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첫 번째 결과 데이터를 보면, 2010년에 1월에 매수해서 2010년 7월에 매도했을 경우, 등락률(수익률)이 20.27%입니다. 두 번째 결과 데이터는 2010년 2월에 매수해서 2010년 8월에 매도한 경우로 등락률이 30.68%입니다.

STK_CD	STK_NM	    매도월	매도가	등락률	매수월	BUY_PRC
------- ----------- ------- ------- ------- ------- --------
... 생략 ...
051900	LG생활건강	2010-07	350000	20.27	2010-01	291000
051900	LG생활건강	2010-08	377000	30.68	2010-02	288500
051900	LG생활건강	2010-09	400000	44.4	2010-03	277000
051900	LG생활건강	2010-10	417500	39.17	2010-04	300000
051900	LG생활건강	2010-11	380500	24.75	2010-05	305000
051900	LG생활건강	2010-12	387000	21.89	2010-06	317500
051900	LG생활건강	2011-01	393000	12.29	2010-07	350000
... 생략 ...

 

위 결과를 통해서는, 딱히 투자를 어떻게 해야 할까 방향을 잡기도 쉽지 않습니다. 데이터 분석과 활용을 위해서는 테이블 형태의 데이터를 차트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위 결과를 엑셀로 내려받아 차트를 만들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그림에서, 녹색바는 6개월 보유후 매도했을 때의 등락률(수익률)입니다. 파란색 선은 해당월의 시작가격입니다.

그림을 보시면, LG생건의 경우, 6개월 보유했을때, 손실나는 경우보다 수익나는 경우가 전반적으로 더 많습니다.

또한, 과거 최대 손실이 -30과 -50 사이입니다. 그러므로 6개월전 대비 -30~-50 사이로 주가가 내려간 시점이라면 매수할만 하지 않을까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더이상 손실 나는 케이스는 잘 없었으니까요.)

그래서, 저역시, 올해 22년 3월 경에 자신있게 매수했더랍니다. 하지만. 역시!!! 보기 좋게 더 미끄러지고 말았습니다. (그림을 보면서 더 생각해보면, 더 기다렸다가, 6개워 등락률이 차차 올라가 다시 0보다 커지기 시작하는 시점에 매수하면 좀더 안정적이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과거의 이벤트와 위의 차트를 비교해서 그려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엑셀은 아래에 첨부합니다.

LG생활건강_6개월보유수익률.xlsx
0.03MB

 

항상 그런 거은 아니지만, LG생건의 경우 중국에 따라 주가 움직임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입니다. 많은 분들도 기본적으로 그렇게 알고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현재, LG 생건에게 호재는 실외마스크 해제와 가격이 너무 많이 빠졌다, 그리고 해외 여행이 시작되었다. 정도입니다.

반면에, 악재를 생각해보면, 금리인상, 러시아 전쟁, 인플레이션, 양적완화 축소, 상하이 봉쇄, 중국 아시안게임 연기가 있습니다. 호재를 능가할만한 악재들이지 않나 싶습니다.

주식 투자라는게 참 어렵습니다. 지난 통계나 가격을 살펴보면, 분명히 사야할 시점 같지만, 다양한 경제 현황을 살펴보면 사면 안되는 시점이기도 합니다. 결국 어찌해야 할지는 본인이 장고끝에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봅니다.

위와 같은 보유개월별, 수익률 변화는 결정을 내리는데 참고 정보로 사용할만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상입니다.

이처럼, 데이터를 분석하는 과정을 공부해보고 싶으신 분은 아래의 '평생 필요한 데이터 분석'의 교육 과정을 추천합니다. 교육을 통해 SQL을 배운다면, 위 내용을 좀 더 보강할 수도 있고, 자신만의 스타일로 분석을 할 수 있습니다. SQL을 완전히 자신의 것으로 만들 수 있는 교육이니 관심 가져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https://cafe.naver.com/dbian/525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