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들이 주식 시장에 관심을 갖고 보는 시간대는 하루중에 언제일까요?
아마도 주식 시장을 여는 아침 시간대가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하룻밤을 기다려야 열리는 주식장! 아침이면 안들어가볼 수 없겠죠?
아침에 들어가서 올라가는 주식들을 보면, 마음이 설렙니다. 어! 날 버리고 가겠는데 사야지!
아침에 들어가서 떨어지는 주식들을 보면, 나름 애리한 생각이 듭니다. 어! 떨어졌네, 기다렸던 가격이야. 사야지!
결국 떨어졌으니까 사고, 오르니까 사고, 어쨌든 아침이면 "사야지!" 라는 뇌회로가 많이 작동하는거 같습니다.
모두가 이렇지는 않겠지만, 실제로도 아침 장이 가장 후끈한 건 사실입니다.
그러면, 주식을 아침 가격, 정확히 말하면 시작가격(Open-Price)에 사는 것이 좋은 선택일까요?
간단한 SQL 집계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설명에 앞서, 주식 투자를 권장하거나, 절대 어떤 종목을 추천하기 위한 글이 아닙니다.
본 글로 인해 투자한 종목의 손실에 대해서는 절대 누구도 책임지지 않는다는 것을 기억해주시기 바랍니다.
데이터의 정확성 역시 일차적으로는 검토했지만, 데이터 수집 시점이나 과정에서 발생한 실수로 부정확할수도 있으니 양해바랍니다.
SQL을 사용해 다음 두 가지 매매(Tradde) 케이스에 대해 평균 수익률을 구해봅니다.
- Case1: 오늘 시가(Open Price) Buy - 오늘 종가(Close Price) Sell
- Case2: 오늘 종가(Close Price) Buy - 내일 시가(Open Price) Sell
실제, 위의 예처럼 매일매일 사고 팔수는 없겠죠? 그래도 데이터를 집계해보면, 우리가 투자에 참고할만한 정보가 나온답니다.
제가 보유한 일별 주가 데이터(한국)를 사용해 년별로 집계해보면 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전체적으로 Case2[오늘 종가(Close Price) Buy - 내일 시가(Open Price) Sell]가 Case1보다 평균 수익률이 훨씬 좋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Case1과 같이 오늘시가에 사서 오늘종가에 파는 경우는 평균적으로 마이너스 수익률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가치투자를 하시는 분들께는 이런 테스트는 완전히 무의미합니다. 정말 좋은 기업에 투자 관점을 가지고 접근하시는 거라면 아침에 사든, 저녁에 사든 중요하지 않으니까요. 하지만, 자신이 주식을 살때 한 번쯤은 참고할 만한 정보라고 생각합니다.
결론! 종가에 사자!
위 결과는 아래의 SQL로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답니다. 다들, SQL 공부 하고 계시죠?
WITH W01 AS(
SELECT T1.STK_CD ,T1.DT ,T1.C_PRC ,T1.O_PRC
,LEAD(T1.O_PRC) OVER(PARTITION BY T1.STK_CD ORDER BY T1.DT ASC) AF_O
,LEAD(T1.C_PRC) OVER(PARTITION BY T1.STK_CD ORDER BY T1.DT ASC) AF_C
FROM HIST_DT T1
WHERE T1.DT >= '20210101'
AND T1.DT <= '20211231'
ORDER BY T1.DT DESC
)
,W02 AS(
SELECT T1.*
,ROUND((T1.C_PRC - T1.O_PRC) / T1.O_PRC * 100,1) `오늘시가_오늘종가`
,ROUND((T1.AF_O - T1.C_PRC) / T1.C_PRC * 100,1) `오늘종가_내일시가`
FROM W01 T1
)
SELECT DATE_FORMAT(T1.DT,'%Y')
,AVG(`오늘시가_오늘종가`) `CASE1_오늘시가_오늘종가`
,AVG(`오늘종가_내일시가`) `CASE2_오늘종가_내일시가`
,COUNT(*) CNT
FROM W02 T1
GROUP BY DATE_FORMAT(T1.DT,'%Y');
'데이터분석 > D-Tech 데이터로 하는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을 무슨 요일에 살까? (0) | 2023.08.08 |
---|---|
Should I buy stocks at the opening price or at the closing price? (0) | 2023.08.08 |
[파이썬]TwelveData에서 미국 종목 리스트 가져오기 (0) | 2022.10.13 |
단순 보유 VS. 추세추종 트레이딩 (0) | 2022.10.07 |
쉽지 않은 SK하이닉스(Feat. 디램 수출) (0) | 2022.05.08 |
LG생활건강을 6개월 보유하면? (0) | 2022.05.07 |
금리인상, 나의 투자 전략은? Feat.구글트렌드 (1) | 2022.05.05 |
카테시안 조인 이해하기 (0) | 2021.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