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주식을 어떤 요일에 사는게 좋은지, 과거 데이터를 간단히 집게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설명에 앞서 다음과 같은 사항을 기억해 주세요.
- 본 글은 주식 투자를 권장하거나, 어떤 종목을 추천하기 위한 글이 아닙니다.
- 본 글을 참고해 발생한 손실에 대해서는 누구도 책임지지 않습니다.
- 데이터의 정확성은 검토했지만, 다양한 이유로 일부 데이터가 부정확할수도 있으니 양해바랍니다.
년도별로 요일별 평균 수익률을 차트로 그려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각 요일에 종가(Close-Price)에 사서 다음날 시가(Open-Price)에 매도했다고 가정합니다.
월요일이 높은 년도도 있지만, 2011년에는 화요일이 월등합니다. 월요일은 마이너스이고요.
그리고 2015년에는 수요일이 높은 편으로 보입니다.
데이터를 더 갖다가 살펴볼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예를 들어, 주식 시장의 전체 분위기가 좋으면 주초에 주로 오르고, 시장 분위기가 나쁘면, 주초가 별로인가.. 라는 추측이 듭니다. 나중에 지수 데이터를 연결해서 살펴봐야 할거 같네요.
위 차트를 년도 상관없이, 요일별로 평균을 구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전체 평균을 봤을때는 화요일이 가장 좋네요.!
여기서는 각 요일별 종가에 매수한 후에, 다음날 시가에 바로 판 것을 가정했습니다.
이러한 집계 기준을 어떻게 정하는지에 따라 결과가 많이 달라질거 같습니다.
예를 들어, 월요일 종가가 아닌 시가에 샀다고 가정할 수도 있고, 사고 나서 일주일을 보유했다고 가정할 수도 있고요.
그리고 한국 시장이 아니라, 미국이나 중국이라면? 또 다른 결과가 나올까요? 나중에 기회가 되면 해봐야겠습니다.
이상입니다.!
역시 SQL로 간단히 구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 추출 기준: 2010년부터 2023년 8월까지의 한국 주식 시장의 주가 데이터
- 데이터 추출 방법: SQL
WITH W01 AS(
SELECT T1.STK_CD ,T1.DT
,T1.C_PRC B_PRC # BUY when Close price
,DAYOFWEEK(T1.DT) WK_NO
,CASE DAYOFWEEK(T1.DT)
WHEN 2 THEN 'MON'
WHEN 3 THEN 'TUE'
WHEN 4 THEN 'WED'
WHEN 5 THEN 'THU'
WHEN 6 THEN 'FRI' END WK
,LEAD(T1.O_PRC) OVER(PARTITION BY T1.STK_CD ORDER BY T1.DT ASC) S_PRC # SELL when next open Price
FROM HIST_DT T1
WHERE T1.DT >= '20100101'
AND T1.DT <= '20141231'
)
SELECT DATE_FORMAT(T1.DT,'%Y') YY
,T1.WK
,AVG(ROUND((T1.S_PRC - T1.B_PRC) / T1.B_PRC * 100, 2)) AVG_PROF
,COUNT(*) SAMP_CNT
FROM W01 T1
GROUP BY DATE_FORMAT(T1.DT,'%Y'), T1.WK
ORDER BY DATE_FORMAT(T1.DT,'%Y'), MAX(T1.WK_NO)
'데이터분석 > D-Tech 데이터로 하는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Should I buy stocks at the opening price or at the closing price? (0) | 2023.08.08 |
---|---|
주식을 시가에 살까? 종가에 살까? (0) | 2023.08.08 |
[파이썬]TwelveData에서 미국 종목 리스트 가져오기 (0) | 2022.10.13 |
단순 보유 VS. 추세추종 트레이딩 (0) | 2022.10.07 |
쉽지 않은 SK하이닉스(Feat. 디램 수출) (0) | 2022.05.08 |
LG생활건강을 6개월 보유하면? (0) | 2022.05.07 |
금리인상, 나의 투자 전략은? Feat.구글트렌드 (1) | 2022.05.05 |
카테시안 조인 이해하기 (0) | 2021.09.27 |